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25 동계특별강연회
11월 26일 서울대치과병원 승산강의실
임플란트 진료의 다음 단계: 자동화·AI·로봇 수술 시대를 읽다
보수교육 2점 인정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회장 황재홍)가 11월 26일(수)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지하 1층 승산강의실에서 ‘Beyond Digital: Automation, AI and Robotics in Implant Dentistry’를 주제로 2025 동계특별강연회 및 우수회원 고시를 개최한다.
이번 특별강연회는 대한치과의사협회 보수교육 2점이 인정되며, AI 분석·진료 자동화·로봇 내비게이션 임플란트 수술 등 디지털 이후 단계의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을 폭넓게 논의하는 자리다.
이미 디지털 진단과 가이드 수술이 임상 현장에서 보편화된 가운데, 학회는 “디지털 다음 시대의 임플란트 진료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이번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우수회원제도위원회 김종엽 위원장은 “이번 동계특별강연회에서는 보스턴대학교 치주과 Dibart 교수의 로봇 수술 강연을 통해 다가올 임플란트 치료의 방향을 직접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개원 환경에서의 효율과 진료 질 향상에 도움이 될 치과 운영 자동화 전략, 그리고 인공지능 기술이 실제로 임상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 접근도 다뤄지며, 임상가가 공통으로 갖고 있는 고민 해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강연들이 준비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디지털 이후의 임플란트 진료를 묻다
첫 강연은 송인석 교수(고려대 안암병원)가 ‘치과 인공지능 기술현황 및 제 연구경험’을 주제로 강연에 나선다. 송 교수는 최근 치과계 전반에서 빠르게 도입되고 있는 인공지능 영상 진단 기술과 분석 알고리즘 기술 현황을 소개하며, AI가 환자 진단, 치료 계획 결정, 예후 예측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설명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두 번째 강연에서는 민수영 원장(연세웃는아이치과)이 ‘모두가 편해지는 치과자동화’를 주제로 개원가 환경에서 실제로 구현 가능한 진료 자동화 모델을 제시한다. 인력 수급, 진료 흐름, 체어 운영 효율 등 개원의들이 공통으로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를 바탕으로, 민 원장은 디지털 플랫폼·교육 시스템·업무 분장 구조를 통해 ‘의사가 본질적인 치료 판단에 집중하는 진료 환경’을 어떻게 구축할 수 있는지를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풀어낼 예정이다.
이번 강연회의 마지막 세션은 Boston University 치주과장 Prof. Serge Dibart가 맡는다. Dibart 교수는 ‘New Trends in Implant Surgery – Dynamic Navigation and Robotic Implant Surgery‘를 주제로 Dynamic Navigation과 Robotic Implant Surgery를 활용한 정확성·재현성 중심의 임플란트 수술 전략을 소개하며, 로봇 수술 기술이 단순한 ‘기계적 대체’가 아니라 수술의 표준화를 가능하게 하는 임상적 도구임을 강조한다. 로봇 기반 수술이 실제 케이스에서 어떤 장점과 한계를 갖는지, 그리고 어떤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개선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우수회원 고시도 동시 진행
특별강연회 당일에는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우수회원 취득을 위한 구술고시가 함께 진행된다. 우수회원제도는 학회 회원의 임상 역량과 치료 철학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인증 제도로, 학회 가입 3년 이상 및 특강 1회 이상 수료가 신청 요건이며, 증례 제출 마감일은 2025년 11월 14일(금)이다.
이번 학술대회 등록은 학회 홈페이지에서 등록 및 카드 결제가 가능하다.
출처 : 덴탈아리랑(https://www.dentalarir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