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기술-치과임플란트학 잇는 핵심 연결고리 공개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회장 황재홍·이하 KAOMI)가 지난 3월 15~16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제32회 KAOMI 춘계국제종합학술대회(iAO2025)’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치과의사 700여명이 참석해 강연장 곳곳을 열기로 가득 채웠고, 학술강연뿐만 아니라 기자재전시, 치과위생사 세션 등 전반적인 프로그램이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큰 성과를 거뒀다.
‘Bridging cutting-edge and Implant dentistry’를 대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최신 디지털 기술과 임플란트 치료의 접목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국내 연자 21명, 해외 연자 7명 등 총 28명의 연자가 강연을 펼쳤으며, 특히 △Digital Revolution △Healing Boosters △ChatGPT △KAOMI Consensus △Global Speaker △치과위생사 세션 등 세분화된 프로그램으로 임상가들의 호응을 이끌었다.
해외 연자들의 강연 역시 큰 주목을 받았다. Daniel Thoma 교수가 연조직 심미성과 임플란트 주위염에 대해 강의했고, 필리핀·태국·일본 연자들이 참여한 Global Perspectives in Implantology 세션에서는 디지털 임플란트 보철, 연조직 증대술, Er:YAG 레이저를 이용한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됐다.
디지털 기술 활용과 임플란트 치료의 발전을 조망한 ‘The Digital Revolution’ 세션에서는 3D 프린팅, CBCT, AI 기반 치료 계획 등 최신 기술을 다루며 임상가들이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공유했다. ‘Healing Boosters’ 세션에서는 PDRN, BMP, PRF 등 생체 재료를 활용한 치료법이 소개돼 눈길을 끌었다.
핵심 세션 중 하나였던 ‘2025 KAOMI Consensus’에서는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의 치료 방법에 대한 임상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김선재 교수는 고정성 보철물과 가철성 보철물의 선택 기준과 임플란트 개수, 보철물 형태 등을 다뤘으며, 안강민 교수는 환자의 연령, 대합 치아 상태, 골 상태 등을 고려한 치료법을 분석했다. 김성태 교수는 상악 치아 발치 후 선호되는 술식과 릿지 보존 및 증대술의 최신 트렌드를 정리하며 한국 임상가들의 접근 방식을 공유했다. 해당 Consensus는 오는 6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GCCG에서도 발표될 예정이다.
KAOMI 황재홍 회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최첨단 기술과 임플란트 치료 트렌드를 망라함으로써 학회의 학술적 깊이를 더욱 발전시키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KAMY, 특별강연회 등 발전하는 임상 지식을 공유하는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