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2회 춘계국제종합학술대회 iAO 2025 성황리 진행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회장 황재홍, KAOMI)가 15, 16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제32회 KAOMI 춘계국제종합학술대회(조직위원장 백상현)’를 700여 명이 등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했다<사진>.
‘Bridging cutting-edge and implant dentistry’를 대주제로 열린 학술대회에서는 임플란트 관련 지식을 공유하고 임상에서의 바로 적용하기 위한 실용적인 강연이 진행돼 청중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대주제 ‘Bridging cutting-edge and implant dentistry’는 AI 시대를 맞이해 치과 임플란트학 분야에서 최첨단 의료 기술과 임플란트를 접목하여 추구할 수 있는 술식을 소개하고, 과학적 근거에 기초해 임상가와 공유하며, 이에 더해 미래지향적인 변화의 개념도 수용하자는 의미를 담았다.
이 대주제에 맞춰 큰 틀에서 7개 세부 세션으로 강연을 구성하고, 단독 강연과 함께 2~3명의 연자가 콜라보레이션을 이뤄 다양한 의견을 다루는 강연도 구성했다. 이를 위해 학술대회는 크게 Digital Revolution, Healing boosters, Chat GPT, KAOMI consensus, Global speaker, Sponsor session, 치과위생사 세션 등 세부 세션으로 구성됐다.
강의는 국내 연자 21명, 해외 특별 연자 7명 등 총 28명의 국내외 최정상급 연자로 구성됐다. 즉, 구강외과, 보철과, 치주과 등 각 분야를 아우르는 월드클래스 연자가 총출동한 것.
특히, 이번 학술대회에서 선보인 특별한 것 중 하나는, AI 통역 서비스를 실행한 것이다. QR코드 혹은 링크 주소로 접속해 한국어를 영어로, 반대로 영어를 한국어로 강의 실시간 중에 통역해줌으로써 최신 AI 기술과 접목한 국제종합학술대회의 면모를 강화했다. 해외에서 온 청중들은 이구동성으로 깊이 있는 학습 수준에 감탄하는 현장 반응도 보였다.
<디지털이 바꾼 세상 ‘나는 솔로’ The digital revolution Part Ⅰ: All by myself> 세션은 김정현 원장이 ‘치주과 전문의가 디지털을 이용하여 보철하기’라는 연제로 발표했고, 천세영 원장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교정치료와 임플란트 치료의 콜라보레이션’을, 김창성 교수는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Periodontal and Implant Treatment’을 발표했다.
세션에서, 임현창 교수는 ‘어떤 근거로 PDRN을 사용하고 계시나요?’를, 오승환 원장은 ‘임플란트 수술에 도움이 되는 BMP의 활용’을, 김선종 교수는 ‘구강악안면 소수술에서 PRF의 활용’을 발표해 박수를 받았다.
<인공지능 챗봇, ChatGPT 치과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세션에서 이재홍 교수는 ‘ChatGPT와 함께하는 임상치과의 새로운 시대’를 발표했다.
<치과위생사> 세션에서, 박정현 원장은 ‘임플란트 주위염의 치료와 보험 청구’, 엄수희 치과위생사는 ‘임플란트 감염 제로를 향한 치과위생사의 섬세한 역할’, 김재영 교수는 ‘임플란트 임상에 적용되는 최첨단 디지털 기술과 장비’, 이슬아 치과위생사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환자관리 솔루션’을 강의했다.
세션에서, 이동운 교수는 ‘3D 프린팅 모델을 활용한 수직골 증대술’에 대해, 원현두 원장은 ‘보철치료에서 CBCT의 활용’을, 변수환 교수는 ‘AI와 로봇, 치과 임플란트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해 강의했다.
<2025 KAOMI Consensus- 상악 무치악의 수복> 세션에서는, 김성태 교수를 moderator로 하여 김선재 교수와 안강민 교수가 상악 무치악에서 어떻게 임플란트 치료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진단, 치료계획 및 유지관리까지의 프로토콜 정립을 발표했다. 오는 6월,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될 GCCG(Global Consensus for Clinical Guidance)에도 이 내용으로 한국 대표로 발표할 예정이다.
해외 특별 초청 연자로 온 Daniel Thoma 교수는 ‘Mastering soft tissue esthetics and peri-implant health: a pledge for soft tissue substitute Part I과 II’에 대해 강의했다.
세션은, KAOMI와 MOU를 체결한 필리핀 PCOI, 태국 TADI, 일본 임플란트그룹 게츠린카이 등에서 해외 연자를 초청해 구성했다. 태국 Peerapat Kaweewongprasert 선생은 Digital Implant Retained Overdenture, 필리핀 Benjamin Fournier Racela 선생은 REBUILDING RESORBED RIDGES: Innovative Use of Tenting Pole Abutments in Alveolar Bone Reconstruction, 일본 Yoshifumi Tomizuka 선생은 Er:YAG Laser-Assisted Regenerative Treatment of Peri-Implantitis: A New Step Toward the Gold Standard, 태국 Prisana Pripatnanont 교수는 Soft tissue augmentation around dental implants, 필리핀 Rico Martin I. Gerochi 교수는 Digitally-designed Custom Meshes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일본 Shimpei Yamamoto 선생은 Necessary elements for selection of the best treatment method- 4 keys of comprehensive care: Esthetics Biology Structure Function에 대해 각각 강의했다.
Sponsor 세션에서, 강재석 원장은 Digital Cement-less solution을 이용한 난 케이스 임플란트 보철 극복에 대해 강의했고, 송형석 대표는 우리병원에 AI직원이 출근했어요라는 연제로 강의하였다. 이성복 원장은 Zero Failure Concept of Immediate Loading에 대해, 박정철 원장과 이원표 교수는 ‘골재생의 게임체인저 본트리- OCP 어떻게 써야 좋을까?’에 대해서 강의했다.
백상현 조직위원장은 “최첨단 기술과 치과임플란트학의 연결고리를 통해 융합을 이뤄내는 것이 이번 학술대회의 핵심 가치”라며 “과거에 매몰되지 않고 현재에서 더 나아가 발전적인 임플란트 지식과 관점을 총정리할 수 있도록 야심차게 그리고 세심하게 학술프로그램을 준비했다”고 밝히고 “그동안 학술대회 준비하는 대장정에서 아낌없이 노력해주신 조직위원과 임직원 여러분께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황재홍 회장은 “매우 큰 공을 들여 준비한 제32회 KAOMI 춘계국제종합학술대회. 경험과 지식의 공유를 위한 아젠다를 실천하고자, 폭넓은 강연 준비와 동시에 풍성한 전시장을 펼쳤으며, 모두가 만족할 수 있게 학술대회의 대미를 장식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덴탈이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덴탈이슈(http://www.dtissue.com)